일시 | 주요 사건 |
---|---|
1928. 12. (음) |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외포리 대계마을 출생 - 김홍조 박부련 부부의 1남 5녀 중 장남 - 김녕(金寧) 김씨(金氏) 충정공파(忠貞公) 28세손 |
1936 | 외포리 간이소학교를 거쳐 장목소학교 졸업 |
1943 | 통영중학교 입학, 일제에 대한 반감으로 문학에 심취 |
1945. 11 | 경남중 3학년, 해방조국을 위해 '미래의 대통령'을 꿈꾸다. |
1947. 9 |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 입학(1951.9 졸업) |
1951. 1. | 장택상( 相) 국회부의장 비서관으로 정계 입문 |
1951. 3. 6 | 마산문창교회에서 이화여대생 손명순과 결혼(2남 3녀) |
일시 | 주요 사건 |
---|---|
1954. 5. 20 | 제3대 총선, 거제에서 만25세 최연소 국회의원 당선, 이후 5, 6, 7, 8, 9, 10, 13, 14대 국회의원 (9선) |
1954. 11 | 사사오입 개헌에 항의, 자유당 탈당, 민주당 창당에 참여 |
1958. 5 | 부산에서 낙선, 투표함 바꿔치기 등 정치보복을 당함 |
1960. 9. 25 | 어머니 박부련 여사, 북한 고정간첩의 흉탄에 운명 |
1963. 3 | 박정희의 군정연장반대 데모로 서대문형무소 수감 |
1964. 6. 15 | 미 국무성 초청으로 미국, 유럽 등 10여개국 시찰, [우리가 기댈 언덕은 없다] 출간 |
1965, 10 | 민중당 원내총무 선출, 5년간 원내총무 5선 |
1969. 6. 20 | 박정희 3선개헌 반대투쟁 주도, 초산테러를 당함 |
1970. 9. 29 | 40대 기수론 제창, 신민당 대통령후보 지명전 출마 |
일시 | 주요 사건 |
---|---|
1972. 10 | 유신 선포에 미국에서 급거 귀국, 반 유신투쟁 전개 |
1973. 9. 25 | 김대중 납치사건, 정권의 테러행위 강력 규탄 발언 |
1974. 8. 22 | 신민당 총재 선출, 만45세 최연소 야당총재 기록 |
1975. 5. 21 | 박정희 대통령과 영수회담, 민주화 강력 촉구 |
1979, 5, 30 | 신민당 전당대회에서 총재 복귀 |
1979. 8. 9 | YH 여공 신민당사 농성, 폭력 진압으로 김경숙양 사망 |
1979. 10. 4 | 사상 초유의 김영삼 총재 국회의원직 제명 사태 |
1979, 10. 16 | 부마민주항쟁, '독재타도' '제명철회' 시위 격화 |
1979. 10. 26 | 박정희 대통령, 김재규에게 피격, 살해, 유신 붕괴 |
일시 | 주요 사건 |
---|---|
1980. 5. 20 | 전두환 신군부에 의해 3년간 불법 가택연금 시작 |
1981. 6. 9 | 80년대 민주화투쟁의 모태 민주산악회 발족 |
1983, 5, 18 | 민주화 요구, 생명을 건 무기한 단식투쟁 (23일간) |
1984. 5. 18 | '민주화추진협의회 발족, 공동의장 |
1985, 2. 12 | 2.12 총선, 신한민주당 돌풍, 선거혁명 주도 |
1986, 2. 12 | '대통령 직선제 개헌 1천만 서명운동' 전개 |
1987. 5. 1 | 통일민주당 창당, 6월 민주시민항쟁을 주도 |
1987. 12 | '군정종식'을 기치로 대통령 선거 출마 |
일시 | 주요 사건 |
---|---|
1989. 6. | 한국 정치인 최초로 소련 방문 |
1990. 1. 22 | 민주-민정-공화 3당 통합 선언 |
1992. 5, 19 | 민주자유당 대통령 후보 선출 |
1992. 10. 13 | 국회의원직 사퇴, 38년간의 의정생활 마감 |
1992. 12. 18 | 대한민국 대통령에 당선 |
月, 日 | 主要日誌 |
---|---|
2. 25 | 대한민국 대통령 취임, 32년만의 문민정부 출범 취임사, '변화의 개혁을 통한 신한국 건설' 선언 |
2. 27 | 대통령 전재산 전격 공개, 공직자윤리법으로 제도화 |
3. 2 | 콜 독일총리 방한, 세계 정상 한국 방문신청 쇄도 |
3. 4 | "정치자금, 받지도 주지도 않겠다" 선언 / 안전가옥 12개동 철거, 시민공원화 지시 |
3. 8 | 육군참모총장 · 기무사령관 전격 교체 / 수방사령관 · 특전사령관 전격 교체(4월2일), 군 사조직 하나회 해체로 군사 쿠데타 가능성 근절 |
3. 9 | 안기부 기구 축소, 정치관여 금지 |
4. 19 | 현직 대통령 최초 4.19묘지 참배, 성역화 지시, '혁명'으로 격상 |
5. 13 | 5.18 특별담화, 광주민주화운동 명예회복 선언 |
6. 3 | 취임 1백일 회견, "5.16은 쿠데타" 규정 |
6. 10 | "6월 항쟁은 명예혁명" 평가 |
7. 10 | 클린턴 미국 대통령 방한, '핫라인 설치 |
8. 5 | 국립묘지 임시정부 묘역 조성 및 해외 선열 유해 봉환 |
8. 12 | 금융실명제 단행, 경제정의 실현을 위한 혁명적 조치 |
10.15 | 부마사태를 '부마 민주화운동'으로 재규정 |
月, 日 | 主要日誌 |
---|---|
3. 16 | 정치자금법, 지방자치법 등 3개 정치개혁법안 발효 |
3. 19 | 북한, '서울은 불바다가 될 것' 협박 |
3. 24 | 일본과 중국 공식 방문 (~3. 30) |
4. 14 | 45조원 규모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 계획 확정 |
6. 1 | 러시아 방문, 옐친 대통령 회담, 대북 무기 공급 중단 합의 |
6. 18 | 김일성의 남북정상회담 제의 수락 |
6. 30 | 농어촌발전대책 및 농정개혁 촉진 방안 발표 |
7. 9 | 김일성 사망으로 남북 정상회담 무산 |
8. 15 | [ 한민족공동체 건설을 위한 3단계 통일 방안 제시, 북한의 개혁 촉구 |
10. 18 | 미-북 제네바 합의 타결, 북한의 NPT 복귀와 미국의 경수로 제공 등 |
11. 17 | 시드니에서 [세계화 구상] 천명 |
12. 3 | 정보통신부 설치 등 대대적인 정부조직 개편 단행 |
月, 日 | 主要日誌 |
---|---|
1. 26 | [마틴 루터 킹 2세 비폭력 평화상] 수상 |
3. 2 | UN유엔사회개발정상회의 참석 |
3. 23 | [삶의 질의 세계화]를 위한 복지구상 발표 |
4. 25 | 사법개혁안 발표, 법률 서비스및 법학교육의 세계화 |
5. 31 | 교육재정 5% 확보 등 혁명적인 교육개혁안 발표 |
6. 21 | 북경 남북회담에서 대북 쌀 15만 무상지원 합의 |
6. 27 | 4대 지방선거 실시, 34년만에 지방자치 전면 부활 |
7. 1 | 부동산 실명제 본격 실시 |
7. 7 | 방한한 만델라 남아공 대통령과 정상회담 |
7. 22 | 미국 국빈 방문, 6.25 참전기념비 제막식 참석 |
8. 15 | 광복 50년 기념식, 구 조선총독부 건물 철거 개시 |
11. 8 | 한국,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 |
11. 14 | 강택민 주석, 중국 국가원수로는 최초 방한 |
11. 16 | 노태우 전 대통령, 뇌물 수수혐의로 구속 수감 |
11. 24 | 5.18 특별법' 제정 지시 |
12. 3 | 전두환 전대통령, 반란수괴 등 혐의로 구속 |
月, 日 | 主要日誌 |
---|---|
4. 11 | 15대 국회의원 총선, 신한국당, 여당 최초로 서울에서 승리 |
4. 16 | 제주 한미정상회담, '한반도 평화를 위한 4자회담' 제의 |
5. 31 | 2002년 월드컵 한일 공동개최 결정 |
6. 23 | "하시모토 총리와 제주 정상회담, 호소카와, 무라야마 등 5명의 일본 총리와 12차례 정상회담" |
8. 6 | 해양수산부 공식 출범 |
9. 16 | 루즈벨트 국제 장애인상 수상 |
9. 18 | 북한 잠수함 침투사건 발생, 북한에 재발방지, 사과 촉구 |
10. 11 | OECD 이사회, 한국의 OECD 가입 초청을 만장일치로 의결 |
12. 26 | 노동법 개정안 국회통과, 노동계 반발로 이듬해 재개정 |
12. 29 | 북한, 잠수한 사건에 깊은 유감 표명, 분단이후 대남 첫 공식 사과 |
月, 日 | 主要日誌 |
---|---|
1. 15 | '북한이탈주민의 보호및정착지원에관한법률' 제정 |
1. 16 | "대법원 확정 판결, "성공한 쿠데타도 반드시 처벌" - 전두환 무기, 노태우 징역 17년 및 추징금 각 2천2백, 2천6백여 억원 확정" |
1. 23 | 한보철강 부도, 한보그룹 총회장 구속(1, 31) |
2. 12 | 북한 황장엽 서기 북경 한국총영사관에 망명 신청 |
7. 15 | 기아자동차 '부도유예협약, 기아사태 확산 |
8. 23 | 금융개혁법안 국회 제출, 11월 국회에서 법안처리 무산 |
10. 19 | 김대중 비자금 사건 수사 대선이후로 유보 지시 |
11. 7 | 신한국 탈당 |
11. 22 | 밴쿠버 APEC 정상회의 참석, 금융위기 지원 요청 |
12. 3 | IMF와 550억 달러 규모의 지원 최종 합의 |
12. 22 | 전두환-노태우 전대통령 사면 |
月, 日 | 主要日誌 |
---|---|
2. 24 | 퇴임, 영광의 시간은 짧았지만 고통과 고뇌의 시간은 길었습니다. |